종합 상담실

[답변] 의료과실 문의 드립니다 관리자

치료 과정은 쌍방의 신뢰도 매우 중요하고, 추가적인 수술은 또 다른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의료진을 신뢰하기 어려울 경우 다른 상급병원에 방문하여 정밀검사 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 의무기록 및 검사결과 일체를 검토해야 겠지만, 초기 진단이나 수술 과정에 과실이 개입되어 있을 경우, 이와 관련한 기왕의 진료비/향후 진료비/일실수입(과실로 인해 향후 신경손상과 관련한 장애가 남을 경우)/위자료 등에 대해 배상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우선은 관련 자료 일체를 확보하여 둔 다음, 다른 상급병원 등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아, 증세가 어느 정도 안정화 되면 그때가서 법적 해결 여부에 관해 고민해 보았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최유영님의 글입니다.
=======================================

> 제가 왼발 무지 외반증으로 광주 상무병원에서 2009년 12월 진단을 받고 2010년 1월 1차 수술을 받았습니다. 선생님은 정도가 심하지 않아 6주에서 길면 8주면 완치가 되어 일상 생활을 할 수 있다고 했는데, 병원에 6주 입원했고 퇴원 후에도 8주 될때까지 목발을 짚고 다녔습니다.
> 수술 후에도 수술한 부위가 들어가지 않고 오히려 더 튀어나와 기존 신발을 신을 수 없을 뿐더러 일상생활을 할 수 없어 2010년 6월 2차 수술을 받았습니다. 2차 수술후 엄지 발가락이 구부러지지 않고 보행이 제대로 되지 않아 2011년 2월에 다시 병원에 갔는데 이번엔 신경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며 3차 수술을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수술을 안 하고 치료할 수 는 없냐고 물으니, 신경을 이 상태로 1년 이상 방치하면 죽어버려 기능을 회복할 수 없다고 해 빠른 시일내에 수술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왜 신경에 문제가 생겼냐고 물으니 무지 외반증 수술에 따른 부작용이라고 말씀 하셨는데, 1,2차 수술 전에 그러한 부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들은 적이 없었는데 의사 선생님은 설명해줬다는 말만 하셨습니다. 그래도 우선 치료를 받아야 겠으니 3차 수술을 받기로 하고 입원을 했는데, 수술전에 하시는 말씀이 신경이 문제인지 힘줄이 문제인지, 아니면 수술한 엄지 발가락 길이가
면책공고

본 사이트의 내용은 본 법인의 소개를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므로,
여하한 조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법률자문을 거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