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상담실

병원과 담당의의 무책임으로 쌍둥이를 잃었어요...도와주세요........ 하서진
□ 과 정

○ 2010.11.12 : 임신확인

○ 2010.12.29 : 쌍둥이 확인(NT 통합1차 검사)

○ 2011.01~04: 매달 검진

○ 2011.05 : 2주 한번 검진(4일,18일)

○ 2011.05.31 : 이슬이 비쳐 병원 방문.

쌍태아 중 제2아 사산 확인.

담당의(이하 “갑”으로 칭함) 휴진으로 병원에서 아무 조치 없이 전화로만 상담.

대학 병원에서 긴급으로 제왕절개 쌍둥이 출산.

쌍둥이간 수혈증후군 확인

○ 2011.06.10 : 쌍태아 중 제1아 사망.



□ 내 용

○ 본인은 쌍태아 임신시 위험 요소가 많다는 것을 알아 매달 검진을 갔으며, 매달 검진시 “갑“에게 쌍둥이에 대한 위험을 알기에 여러 가지 질문을 한다고 얘기도 하였음.

○ 2010.12.29 쌍둥이 사실을 알고 “갑”에게 자연 분만을 원한다고 처음부터 얘기하였으나, 출산시 쌍둥이 중 1명을 잃을 수 있다며 제왕절개를 요구함.

○ 쌍둥이들 임신시 조산의 위험이 있어서 항상 조심해야 된다고 해서 간단한 집안일 말고는 집에서 쉬었음.

○ 임신 중 조금이라도 배 뭉침 현상이 이상하거나 다른 증상들이 있을시 병원에 매번 전화로 상담을 하였고 검진시 배가 너무 많이 나오고 자주 뭉쳐 이상하다고 “갑”에게 중간 중간 얘기 하였으나 쌍둥이들은 원래 그렇다는 답변만 들음.

○ 25주(2011.03.23) 검진시 본인은 개인병원에서 자연분만으로 쌍둥이 출산이 어렵고, 긴급시 소아과 전문의 투입이 어렵다는 사실을 알고 “갑”과 이 내용으로 상담을 하며 큰병원으로 옮기기 위해 소견서를 요청하였으나, “갑”은 쌍둥이들이 건강하고 자연분만 할 수 있는 자세를 잡으면 위험하지 않다고 큰 병원으로 옮기지 않아도 된다고 함.

○ 29주(2011.04.20) 쌍둥이 4차원 검사시 두명 모두 건강하다고 하였음.

○ 30주 전․후로 본인은 애기들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고 배가 많이 당기고 뭉친다고 검진시 “갑”과 얘기하였으나 출산일이 다가와 그렇다는 답변을 들음.

○ 태동검사는 보통 30분 정도를 하지만 본인은 31주(2011.05.04) 태동검사시 30분씩 총 3번 1시간30분 이상을 하였으며, 태동검사를 하는 간호사가 쌍둥이라 심장소리 구분이 잘 가지 않는다는 말도 계속해서 했고 태동검사 완료 후 “갑”은 태동검사 하느니라 고생했다는 말과 함께 애기들은 둘 다 건강하다고 얘기했음.

○ 33주(2011.05.18) 초음파 검사시 “갑”은 애기들 몸무게 차이(제1아 : 1.3~1.4kg, 제2아 : 1.8kg)가 난다며, 제2아는 머리둘레 및 몸무게가 정상범위에 들지만 제1아는 머리둘레는 정상이고 몸이 홀쭉한 편이지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였으나, 계속적으로 초음파로 탯줄 부분을 확인 하였음. 본인은 이상하다 생각되어 왜 탯줄 부분을 자세히 보냐고 했더니, 영양분을 한아이가 다 가져가면 한아이가 제대로 크지 않아 아기를 잃을 수 있다고 얘기함. 하지만 아직 걱정할 단계는 아니라고 얘기들음.

○ 35주(2011.06.01)검진 예정일이였으나 34주6일(2011.05.31)이슬이 비쳐 병원에 전화를 하였더니 간호사가 병원으로 오라고 함.

본인은 몸무게가 검진 13일 사이에 5kg이상 증가함.

“갑”이 휴진인 날이라 다른 의사(이하“을”이라 칭함)에게 검진을 받기로 함.

“을”이 본인 태동검사 자료를 확인하던 중 배가 뭉치거나 당김 현상을 물어봄. 본인은 배가 자주 뭉치고 당기는 현상이 항상 있었으나 “갑”이 괜찮다고 했다고 얘기하니 “을”이 머리를 갸우뚱하며 이정도면 배가 많이 당기셨을 텐데요 라고 얘기함. 그리고나서 초음파 검사 중 제2아가 뱃속에서 사산 되었다는 사실을 확인. 옆 방에서 근무하는 여의사도 “을”의 방으로 들어와 제2아의 사산 된 상태를 확인.

“을”은 “갑”과 통화를 하고 알려주겠다고 방에서 나가 있으라고 하였으며 그 이후로 병원에서는 남은 아이의 상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 대처도 하지 않았음.

꽤 시간이 흐른 뒤 “갑"과 병원 복도에서 통화를 하였음.


▶ 통화내용

“갑”에게 남편과 본인은 혜화동 서울대병원이나 강남삼성병원으로 가고싶으니 갈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을 하였으나 “갑”은 인근대학 병원에 얘기 해놨으니 그쪽으로 가라고 계속 주장을 함. 우리는 계속 서울쪽 병원을 가기를 원한다고 얘기하였으나 “갑”은 인근대학 병원에서 진찰을 받으면 큰 병원으로 쉽게 옮길 수 있다는 얘기만 반복함. 그리고 “갑”은 한 아이가 사산이 되었더라도 다른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니 다음날 “갑”에게 진찰을 받을 것을 권유.


병원에서는 아무런 조치를 취해주지 않아 우리가 직접 서울에 있는 병원에 문의를 하니 산부인과에 자리가 없다는 답변만 받았고, 서울대 병원 응급실에서는 진료병원에서 왜 아무런 대처를 안해주냐고 우리에게 되물음.

한 아이가 사산 되었더라도 다른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소리를 듣고 우리는 집으로 돌아와 다른 병원에 갈 준비를 하고 나왔으나 퇴근 시간이라 길이 막혀 도로에서 긴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안되겠다는 생각에 결국 소개해준 병원으로 갔더니, 자궁문은 40~50%열린 상태였고, 제2아의 사산된 영향으로 제1아의 생명과 본인까지 위급한 상황이였음. 긴급으로 전신마취 후 제왕절개를 하여 아이를 출산하였으나 제1아의 장기 및 뇌까지 손상된 상태로 태어남. 그리고 10일 후 제1아가 사망함.

(병명 : 쌍둥이간 수혈 증후군(twin-twin transfusion syndrome=T.T.T.S))


□ 주 장

본인은 자연 쌍둥이가 위험했음을 인지했기에 “갑”과 임신 중 지속적으로 상담을 하고 꾸준한 병원검진을 받았으며

개인병원의 의료적으로 부족함을 알기에 큰 병원으로 옮기길 원했으나 이를 거부 했다는 사실이 이해가 안감.

“갑”은 의사로써 쌍둥이의 위험성을 전혀 알려주지 않았고, 임신시 이상 증세가 중간중간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를 잃기 싫어서인지 돈을 목적으로 했기에 의사의 욕심과 병원의 무책임한 대처로 두아이의 생명을 잃게 되었다고 생각 됨.

인터넷 검색으로 알아본 결과 일란성 쌍둥이 임신시 “TTTS\"는 의사들이 임산부들에게 거의 인지를 시켜 여러 가지 방법으로 건강한 아이를 출산 하도록 노력하였으나

”갑 “은 33주에 이상 증세를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사실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사실이 이상함.

또한 이슬이 비쳐 병원 방문시 제2아가 사산 된 사실을 알고도 병원에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 제1아까지 잃게 됨.



남편과 저는 딸을 너무 원했던 터라...딸 쌍둥이라 너무나 행복한 임신 기간이였습니다. 근데 출산일이 다가와 이런 청천벽력같은 일을 당하게 되었어요...한꺼번에 두 아이를 잃게 된거지요...정신적으로도 지금 너무 힘들어서 일상생활이 힘들정도입니다...이 답답한 심정을 어떻게 풀어야할지 모르겠네요....도와주시기 바래요.....



□ 질의

-본인은 형사고발을 하고 싶은데 본인과 같은 경우 형사고발이 가능한지 알고 싶어요.

아니면 담당의와 병원에게 벌을 최대한으로 가하게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어떤게 있는지요.

- 본인이 겪은 일들이 법적으로 위배되는 사실이 있는지 알고 싶어요

- 만약 담당의와 병원이 처벌이 가능하다면 어느선까지 가능한지...

- 이것들을 입증하려면 어떻게 해야하고. 어떤 방법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면책공고

본 사이트의 내용은 본 법인의 소개를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므로,
여하한 조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법률자문을 거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