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상담실

질의합니다. 성종하
안녕하십니까?
저에게 해당되는 사항이 의료사고로 해결이 가능한지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013년 2월 8일(설날 연휴 전날) 주먹으로 문을 쳐서 복서골절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날 밤 분당서울대학교 병원에 갔더니 복서골절이라고 하여 수술을 받으려고 하였는데 설날 전이라 의사도 없고, 빈 병실도 없다고 하여 태평역 근처의 정병원을 소개받았습니다. 새벽 한시라서 내일 가도 되냐고 문의하였더니 그래도 된다고 하였습니다.

2013년 2월 9일 정병원에 가서 엑스레이 등을 찍고 입원을 하였습니다, 저녁쯤에 수술 담당 의사분이 오셔서 수술을 한다고 하여 그날 수술을 하였습니다. 수술 후 총 4개의 핀을 박았는데 새끼손가락 쪽 손목에서 새끼 손가락 쪽으로 3개, 약지와 새끼손가락을 고정시키는 핀을 하나 박았습니다. 새끼손가락 마디와 약지마디 뼈를 뚫어서 박았습니다.

2주간 입원 치료를 받다가 퇴원하여 통원치료를 받았습니다.
4월 11일쯤에 손목에 있는 핀 3개 제거를 하였고, 그 다음주에 손가락에 있는 핀을 제거한다고 하였습니다.
4월 17일쯤 통원치료를 받는데 그냥 붕대로 감으려고 하길래 핀 제거를 해준다고 한 사실을 이야기하자, 엑스레이를 보자며 엑스레이를 찍었습니다. 그 뒤 제거가 안 된다고 하였습니다. 말을 자꾸 바꾸시고 자신이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는 식으로 말하여서
4월 24일쯤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근처의 호병원으로 갔습니다. 엑스레이를 찍고 상태가 양호하다고 핀제거를 해주었습니다.

그 뒤 재활을 2주정도 드문드문 하다가 안가게 되었습니다.

7월초부터 새끼 손가락의 변형이 오고 새끼손가락부터 중지까지 손가락마디가 굳어서 굽어지지 않았습니다.(처음부터 굽어지지 않았습니다) 집에서 재활을 할 생각이었지만 그리 크게 재활은 안한 상태입니다.
그러다가 9월 5일 다시 호병원에 가니 손가락이 굳어서 더 이상이 굽어지지 않을 듯 하며 그래도 3차 진료기관에 가서 상담을 받아보라고 하여 상담예약후 기다리는 중입니다.

제가 문의드리고 싶은 것은
복서골절로 손가락을 2개월 반 정도 묶어놓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가입니다
다른 의사 선생님의 말이나 인터넷 상에서의 말에도 손가락은 빨리 굳기 때문에 큰 문제가 아니면 그렇게 오랫동안 묶어두지는 않는다고 하던데...
그리고 분당서울대병원에서는 큰 사고가 아니라고해서 정병원으로 갔는데 손에 핀을 4개나 박고 특히 새끼손가락과 약지를 핀으로 고정시켜두는 것이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전글
의병제대
다음글
질의합니다
면책공고

본 사이트의 내용은 본 법인의 소개를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므로,
여하한 조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법률자문을 거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