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부탁드립니다.
김성원
2010년 2월 27일 여성병원에서 남자아이를 자연분만으로 출산 후 산후조리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출산 후 3주 정도가 지났을 무렵 입맛이 없고 열도 나는 것 같고 약간의 복통이 있다고 했습니다.
그때 까지만해고 저희들은 첫아이라 출산후 후유증이라고 생각만 했습니다.
그리고 2010년 3월 19일 상복부부터 우하복부로 통증이 심하다고 해서 동네 의원에 찾아갔습니다.
원장님 촉진과 진료후 결과는 출산후 올 수 있는 신우염까지는 아니라면서 링겔을 맞고 경과를 지켜 보자고 했습니다.하지만 근무중에 병원을 방문한 때라 시간이 없다고 하자 약을 처방해주시면 주사를 맞았습니다.
약을 먹고 쉬고 나니 복통이 조금은 사라져서 2일후(일요일) 약을 처방받기 위해서 재방문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원장님이 아닌 다른 선생님이 계셨고 청진기로 진료 후 약을 처방받고 별 다른 통증이 없이 지냈습니다.
그런데 2010년 3월 24일 복통이 다시 심해져 여성병원에 가니 원장님께서 증상을 묻고 촉진을 하시더니 맹장염 같다고 외과에 가서 확진을 받으라고 해서 외과에 가서 진료를 받으니 맹장염 확진을 받고 그 날 바로 수술을 하였습니다. 수술 후 원장님께서는 맹장과 충수돌기 연결부위가 터져서 염즐이 퍼졌으며 주위 장기와 붙어 있어서 통증을 잘 못느꼈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입원도 더 오래 있어서 한다고 하셨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주위 사람들은 동네 의원에서 원장님이 촉진을 하였으며 증상을 보고 왜 맹장염이라고 의심을 갖지 않고 소변검와서 혈액검사도 안했을까 하는 의문점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 때 확진을 받았으면 지금 환자가 받는 고통은 덜할 것이며 입원비 부담도 적을 것인데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주위 사람들은 동네 의원에서 가서 진상규명을 하라는데 어떻게 해야하는것이 옳은 것인지 궁금해서 글을 남깁니다.
다시 한번 상담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