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상담실

[답변] 의료과실 관리자

일부 철사가 남아 있는 것에 대해 당시에 환자측에 이와 같은 사정을 이야기 하였더라면 보다 바람직하겠지만, 철사로 인해 환자측의 증세가 악화되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철사가 잔존한 사실을 고지하지 않은 사실만으로 책임을 묻는 일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물론 현재의 통증이 철사와 관련된 것인지 여부가 불분명하나, 질문 내용에 따르면 이를 문제삼고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와 별도로 질문자측의 솔직한 입장을 상대방에 정중히 전달하여 상대방의 입장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의외의 해결책이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강효희님의 글입니다.
=======================================

> 다름이 아니라 의료과실에 관련해서 문의를 드리려고 합니다.
>
> 저희 어머니께서 1996년도에 빙판길에 넘어지셔서 골절 분쇄정도로
> 어깨가 부러지셔서 핀으로 고정하는 수술을 받으시고
>
> 2001년도에 핀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으셨습니다.
>
> 몇달전 어깨가 너무 아프셔서 병원을 다니셨고
> 계속 어깨가 아프셔서 병원에 가셔서 자세하게 x-ray를 찍으셨는데
>
> 뼈 사이에 철사가 보였습니다.
> (핀을 빼는 수술때 다 제거가 되지 않았다는 의사 소견이 있습니다.)
>
>
> 그래서 오늘 핀을 박고 제거한 병원에 가서 문의를 했습니다.
>
> 수술일지 등등.. 여러가지 자료를 검토 하였을때
> 일지상으로는 철사가 뼈속에서 빠지지 않아서 그냥 놔두었다는 내용이
>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
> 담당 의사曰 : 철사를 빼지 않아도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 아무런 동의 없이 철사를 빼지 않았다고 합니다.
>
>
>
> 그리고 지금 어깨가 아픈건 그 뼈에 박혀 있는 철사와는 무관하며
>
> 핀을 박고 제거할때 기간이 오래되서 뼈속에서 철사가 빠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
>
> 그래서 환자.. 즉 저희 입장에서는
> 그 당시 핀을 다 제거 했다고 들었고, 그 수술 일지는 보지 못했으며
>
> 마취할때나 다른 경우에는 환자 보호자 동의를 다 받으면서
>
>
> 아무런 문제가 없어서 뼈속에서 빠지지 않은 철사를 그냥 박아 놓는것을
>
> 환자 동의를 받지 않았다는 게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 그리고 그 담당 의사가 말하길 철사가 박혀 있으면 MRA를 찍을때
> 제대로 안 나올 경우는 있으나 사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
>
> ( 나중에 혹시나.. 사고가 나셔서 MRA를 찍여야 되는 경우가 생기면??)
>
> 지금 그 철사를 빼는 수술을 하면
> 그 철사가 뼈 어느 부분에 박혀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 뼈를 다 부셔야 된다고 합니다.
>
>
> 이럴때 저희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
> 그래도 뼈에 철사를 받아 놓는건데 환자의 동의도 없이 남겨 놓고
> 그것도 환자한테 알려 주지 않는건 의사 잘못이 아닌가요?
>
> 수술할때 아버지, 저 다 있었는데 그런 내용은 전혀 듣지 못했습니다.
>
> 그 철사로 인해서 뼈에 상관이 있든 없든.....
> 수술할때 빼지 못했다는 걸 알려줘야 된다고 생각하는데요...
>
>
> 그리고 수술할때, 수술후 정말 저희한테 철사가 남아 있다는 내용을
> 말한적이 정말 없습니다.
>
> 이럴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고싶습니다.
>
면책공고

본 사이트의 내용은 본 법인의 소개를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므로,
여하한 조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법률자문을 거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