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국가유공자 문의드립니다.
관리자
상담자분은 입대전에 대학을 다녔고 신체검사에서 1급 판정을 받는
등 정신적으로 문제가 없는 상태에서 입대를 하였다가
훈련소부터 적응장애, 경계성지능지체, 우울증 등의 증상이
발생하였고 자대배치 후 악화된 것으로 보아
군복무 중의 환경이 질병의 발병에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비교적 짧은 군복무 기간 중에 증상이 나탄 것으로 보아
가혹행위나 구타 등의 일반인이 견디기 어려운 환경에 노출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잠재된 본인의 소인이 군복무로 발현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환경에 노출되었는지에 대한 자료가 있어야
보다 자세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이성룡님의 글입니다.
=======================================
> 안녕하세요. 저는 작년에 2009년7월중순 경계성지능지체 진단으로 군병원에서 국부령 5급판정을 받고 의병전역을 하였습니다.
> 군입대후 우울증세가 있어서 훈련소에서 부터 군병원 정신과를 찾아 외래진료를 받았습니다.
> 그러나 훈련소에서 아무런 조취를 해주지않고 결국 훈련소를 복귀하여 훈련을 마친후 후반기교육을 받고 자대를 배치받았습니다. 자대배치후 우울한증세가 심해져 결국 군부대 중대장님과함께 군병원에 외래진료를 받았습니다. 왜래 진료에서 정신과약을 처방받고 임상적추정으로 (R/O 적응장애)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군의관님께서 제가속해있는 해당부대는 관할병원이 아니니 다른 타군병원으로 진료를 가보라고 진단서를 끊어주셨고 결국 타군병원에 외래진료갔으나 (의심되는 정신행동장애 관찰)을 진단을 내리셨고 정신과 약물(염산트라조돈캅셀,알프라졸람,세로자트20mg) 처방을 받았습니다. 그뒤 수면부분은 호전증세가보였으며,결국외래진료없이 사단의무대에서만 (파로세닌20mg)만 처방받아 계속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였으나, 호전 증세가 없었습니다. 결국 민간병원(서울대병원) 위탁진료를 받아 진료를 받았으나 진단결과(우울증,적응장애)을 진단을 받고 (쎄로켈100mg, 팍실CR 12.5mg,아티반정0.5mg)을 처방받았습니다. 서울대병원에서 처방받은 약물 복용후 수면부분은 호전상태가 보였습니다. 그뒤 군부대 외출로 2회 정도 위탁진료받고 똑같은 약물을 처방받았습니다. 그뒤 지속적으로 민간병원진료를 받을수가없어 군병원에 다시 외래진료를 받았습니다. 군병원에서 입원권유와함께 (세로자트 20mg, (네오마찐정)chlorpromazine 100mg 처방을 받았으나 민강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이 남아있어 이전에 복용하던 약을 계속 복용하였고 결국 몇일후 군병원에 입원하게되었습니다. 입원후 군병원에서 심리검사를 받았고 또한 군병원입원기간동안 민간병원(서울대병원)위탁진료를 받아 민간병원에서도 심리검사를 한번더 받았습니다. 심리검사결과는 군병원이 먼저 나왔습니다. 검사결과 군의관님께서 결과가 심각하게나왔다고 하시면서 경계성지능지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저에게는 너무나 충격적이였습니다.
> 그후 서울대병원에서 검사결과 날짜가 나와서 진료및 결과를 받으로 외출로 진료를갔습니다.서울대병원에서도 경계성지능지수가 나왔으나, 검사결과 만성우울증및 경계성성격장애 진단이 내려졌으며 의사께서 병사용진단서를 발부해주셨습니다. 결국 병원에 복귀하여 군병원에 민간병원 심리검사 결과 자료를 제출하였고 군의관님께서 검사결과자료를 보신후 저에게 지능쪽으로 끌구가야겠다고 하시면서 의병전역을 권유하였습니다.
> 결국의병전역후 사회나와서 아무런 치료할수있느 방법을 찾아보았으나 방법이없었습니다.너무나 괴롭습니다.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 등 자라오면서 성적은 부진하였으나, 제지능에 문제가있었다는 걸 느끼지못하였습니다. 또한 군입대전 정신과진료받은적은 없었으며 군입대후 우울감,불안감, 등 증가되어 군입대후 심지어 휴가,외출을 신청하여 민간대학병원에서 진료를 받았습니다. 군입대전 병무청에서 신검결과 1급이라는 판정을 받았습니다. 신검에서 1급이라는 판정을 받을때 제몸과 정신에 문제가 없겠구나 하는 마음으로 다니던대학을 휴학을 내고 군입대를 하였습니다. 이렇게 군에서 정신과 의병전역을 할줄은 몰랐습니다. 만약에 국가유공자에 해당이되지 않으면 할수없지만 만약에 충분히 국가유공자 재판이 가능하다면 신청을 하고싶습니다.
> 괴로운마음에 메일로 남겨드립니다.
> 죄송하지만 상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온라인으로 국회도서관에 (군복무 부적응자 인권상황 실태조사)자료 를 참고해주셨으면 합니다.